2019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022년 여름이 되어도 아직 이어지고 있다. 최근 다시 감염률이 높아짐에 따라 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인지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-19는 어떤 질병인지 알아보도록 하자. 그리고 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에 대해서도 간략히 알아보자.
목차
1.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-19
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-19는 어떤 질병인가?
-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-19(코로나 19)는 과거에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인 SARS-Cov-2에 읳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이다.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무증상부터 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.
- 이 새로운 바이러스와 질병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되었고, 현재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.
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 인가?
- 코로나 바이러스는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그중 사람에게 전파 가능한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존에 6종이 알려져 있다.
이 중 4종은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, 나머지 2종은 각각 MERS-CoV와, SARS-CoV로 알려져 있다.
이번 유행의 원인 바이러스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(SARS-CoV-2)로 공개된 염기 서열분석을 통해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박쥐 유래 사스 유사 바이러스와 89.1%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.
2. 코로나 바이러스 먹는 치료제
1) 팍스로비드(니르마트렐비르 및 리토나비르)
▷투여 대상 선정
코로나 증상 발생 후 5일 이내, 산소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 중
1. 연령 만 60세 이상
2. 연령 만 12세 이상의 면역력 저하자 또는 다음 기저질환자[당뇨, 심혈관질환, 만성 신장질환, 만성 폐질환, 체질량지수(BMI) 30㎏/㎡이상, 신경발달장애]
※ 22.3.14부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(RAT) 양성으로 확진이 된 경우에도 처방이 가능하다.
▷ 용법, 용량
니르마트렐비르 300mg(150mg 2정)+리토나비르 100mg(100mg 1정) 병용투여
1일 2회(12시간마다)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
※ 이 약의 복용을 잊은 경우, 복용 예정 시간으로부터 8시간을 경화하지 않았다면 즉시 예정된 용량을 복용, 8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한 경우라면 그 다음번 복용 예정 시간에 정해진 용량을 복용.
▷투여기간
연속 5일간 사용.
▷ 사용 금지 경우
팍스로비드는 병용 금지 의약품 사용자 및 신장애, 간장애 환자는 투여가 제한 또는 금지.
2) 라게브리오 (몰누피라비르)
▷투여 대상 선정
코로나 증상 발생 후 5일 이내, 산소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, 다른 코로나19 치료제를 사용할 수 없거나, 다른 코로나 치료제가 임상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환자일 경우
1. 연령 만 60세 이상
2. 연령 만 18세 이상의 면역력 저하자 또는 다음 기저질환자[당뇨, 심혈관질환, 만성 신장질환, 만성 폐질환, 체질량지수(BMI) 30㎏/㎡이상, 신경발달장애]
※ 22.3.14부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(RAT) 양성으로 확진이 된 경우에도 투여대상 기준 부합 시 처방이 가능하다.
▷ 용법, 용량
몰누피라비르 800mg(200mg 4캡슐)
1일 2회(12시간마다)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
※ 이 약의 복용을 잊은 경우, 복용 예정 시간으로부터 10시간을 경화하지 않았다면 즉시 예정된 용량을 복용하고 다음 약은 기존 일정대로 정해진 시간에 복용, 10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한 경우라면 그 다음번 복용 예정 시간에 정해진 용량을 복용.
▷투여기간
연속 5일간 사용.
▷ 투여 유의 사항
① 임부 : 이 약은 임신 중에는 투여하지 않음
② 수유부: 영아에게 이 약으로 인한 약물 이상반응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 약 투여 중이나 마지막 투여 후 4일간은 수유가 권장되지 않음.
③ 가임기 여성과 남성
여성: 가임기 환자에게는 이 약 투여 중 및 마지막 투여 후 4일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교육함.
남성: 가임기 배우자와 성생활을 하는 환자에게 이 약의 투여 중 및 마지막 투여 후 3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교육함.
3. 먹는 치료제 대상자 중 면역력 저하자의 기준
1. 질환 상태
(1) 현재 종양 또는 혈액암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는 자
(2) 조혈모세포이식 후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2년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학적 합병증(만성 이식편대 숙주병)이나 면역억제 치료 중인 자
(3) B세포 면역요법 치료를 받은 지 1년 이내인 환자
(4) 겸상구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, 지중해빈혈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자
(5) 일차(선천)면역결핍증(항체결핍, DiGeorge syndrome, Wiskottt-Aldrich syndrome 등)으로 치료 중인 자
(6) 폐이식 환자
(7) 고형장기이식 후 1년 이내인 환자 또는 최근 급성 거부반응 등으로 면역요법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
(8) HIV 감염 환자(CD4+ T세포수 <50 cells/mm3)
(9) 심각한 복합 면역결핍증 환자
(10) 자가면역 또는 자가 염증성 류마티스 환자
1) 항류마티스 약물(Disease modifying anti-rhumatic drugs, DMARDs)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
2) 과거 심각한 감염의 병력이 있었던 환자
(11) 비장 절제 환자
(12) 기능적 해부학적 무비증 또는 비장 기능장애
2. 면역억제제
※ 아래 약물 중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자
(1) 고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(20mg 이상의 용량으로 2주 이상 처방받은 자)
(2) 알킬화제(alkylating agents)
(3) 길항 물질(antimetabolites)
(4) 이식 관련 면역억제제(transplant-related immunosuppressive drugs)
(5) 암 화학요법제(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)
(6) 종양 괴사(TNF) 차단제(tumor-necrosis factor(TNF) blockers)
(7)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조절제인 기타 생물학
코로나 19 먹는 치료제(팍스로비드, 라게브리오) 부작용시 보상방법
▼▼▼
2022.07.20 - [알아보자/건강] - 코로나 19 먹는 치료제 (팍스로비드, 라게브리오) 복용 후 부작용 발생했을 때 보상 받는 법
코로나 19 먹는 치료제 (팍스로비드, 라게브리오) 복용 후 부작용 발생했을 때 보상 받는 법
코로나 19의 먹는 치료제로는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가 있습니다. 이 두 약의 투여 대상자들은 서로 다릅니다.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의 대상자에 대한 글은 아래에 링크로 확인하시면 됩
nicedayhahaha.tistory.com
'알아보자 >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병원에서 처방해주는 다이어트 약 종류와 효능 (0) | 2022.07.21 |
---|---|
코로나 19 먹는 치료제 (팍스로비드, 라게브리오) 복용 후 부작용 발생했을 때 보상 받는 법 (0) | 2022.07.20 |
파킨슨병, 마침내 알아낸 발병 원인 (0) | 2021.07.10 |
대상포진 : 원인 /증상/진단/ 치료법 (1) | 2021.07.04 |
다이어트시 먹어야하는 영양제 5가지 (0) | 2021.06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