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일반적인 급성기 병원 주사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본적인 주사제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글에서는 약물 하나하나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주로 어떤 약물을 사용하는지, 어떤 효능효과를 가지는지, 어떤 방법으로 투여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아래 약물의 종류는 병원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.

 


 

목차


외래 주사실에서 사용되는 주사제

 

 

1. 소화기 관련 주사제

멕쿨

- 구역구토 예방
- 구역, 구토의 증상 치료



-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로 투여
- 정맥투여 시 천천히 주입해야 한다. (3분 이상)
알피트 - 위장관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
- 소화관 내시경 검사 전 투약
-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한다.
- 검사 전 투약 : 40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한다.
판타졸 - 십이지장궤양
- 위궤양
- 역류식도염
- 위산 과분비 상태
- 생리식염 주사액 10 mL1바이알을 녹여 직접 정맥주사
-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% 포도당액 100 mL와 혼합하여 215분에 걸쳐 정맥으로 점적한다.

 

 

2. 진통 주사제

타마돌 -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
- 진단 및 수술 후 동통
-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한다.
케로라 -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에 대한 단기요법
- 마약성 진통제가 금기인 중증의 수술 후 통증
<성인>
- 근육주사 및 정맥주사
- 필요에 따라 모르핀류를 병용투여할 수 있다.


<2세 이상 소아> : 소아 수술 후 단회 정맥주사로 투여한다. 근육주사는 통증이 있으므로 소아에게는 정맥주사가 권장된다.
파세타 - 외과 수술 후 통증
- 발열의 단기간 치료
- 사용직전 용해시킨 후 12분내 근육주사, 정맥주사하거나 정맥 내 점적 주입 한다.
-정맥내 점적 시 5% 포도당 주사액 또는 생리식염 주사액 125 mL에 섞은 후 15분 내 에 점적 주입한다.
- 용해제로 녹인 제품은 2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.
토라렌 - 류마티스 관절염, 골관절염(퇴행성 관절질환), 강직성 척추염,
수술후 . 외상후 염증 및 동통, 급성통풍, 신 및 간산통
- 둔부에 근육주사 한다.
페치딘 - 격렬한 통증의 완화, 진정, 진경
- 마취 전 투약
- 마취시의 보조
- 무통분만
- 피하 또는 근육주사하며 필요에 따라 3~4시간 마다 추가 한다.
- 긴급한 상황에서는 서서히 정맥주사 한다.

 

 

3. 알레르기 관련 주사제

덱사메타손 - 내분비 장애 : 부신피질기능부전증
- 류마티스성 장애 : 류마티스 관절염, 다발성 관절염, 골관절염 등
- 교원성 질환 :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
- 피부 질환 : 건선, 신경성 피부염, 성인의 부종성 경화증, 태선
- 알레르기성 질환 : 기관지 천식, 접촉성 피부염, 아토피성 피부염,
혈청병, 계절성 또는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, 약물과민반응,
두드러기, 고초열, 아나필락시성 쇽

- 위장관 질환 : 궤양성 대장염
- 혈액 질환 : 후천성 용혈성 빈혈, 혈소판감소증
- 종양성 질환 : 백혈병(일시조치)
- 부종성 질환 : 신증후군
- 신경계 질환 : 호즈킨병 (일시조치)
1) 정맥 또는 근육주사
2) 점적 주사
3) 관절내 주사, 점액낭내 주입
4) 연조직내 주사
5) 건초내 주사
6) 국소피내 주사
7) 결막하 주사
8) 구후 주사

페니라민 - 고초열, 두드러기, 소양성 피부질환
(습진 피부염, 피부소양증, 약진, 곤충자상 등), 알레르기성비염,
 혈관 운동성 비염
- 피하주사
- 근육주사
- 정맥주사

 

 

4. 골다공증 관련 주사제

이반드론 -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- 3개월에 한번씩 15~30초 간 정맥주사 한다.
프롤리아

- 호르몬 치료, 노화로 인한 골밀도 소실 등의 이유로 발생한 골다공증 치료

- 6개월마다 상완, 허벅지 위쪽 또는 복부에 피하 주사한다.
졸레드론산 - 골다공증의 치료
-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
-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
- 골파제트병의 치료
- 일정한 속도로 정맥주사한다.
- 주사시간은 15분 이상
- 약 투여 전후 환자에게 충분히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다.

 

 

5. 철분 주사제

베노훼럼 - 철 결핍환자에서 철 보급 - 정맥점적주사 및 정맥주사로 투여하며, 정맥점적주사가 선호된다. - 이 약은 근육주사 할 수 없다.
- 투여 직전에 5 mL당 최대 100 mL의 생리식염 주사액에 희석 한다. 안정성 문제로 더 낮은 농도로의 희석은 허용되지 않는다.
- 주입속도 : 200 mg30분 이상 주어야하고 그 이상은 용량에 맞춰 주입시간을 늘린다.
모노퍼 - 경구투여로 효과가 불만족하거나,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철 결핍증 환자
- 임상적으로 빠른 철 보충이 필요한 철 결핍증 환자
- 정맥으로만 투여 한다.
- 단독투여, 최대 20ml 생리식염수 희석 투여 한다.
- 정맥 점적투여 가능하다.
- 피하 또는 근육주사 할 수 없다.

 

 

6. 비타민 등 영양제제

아스코르브산 - 비타민C 결핍증의 예방과 비타민C 결핍으로 발생하는 질환치료 -피하, 근육 또는 정맥주사 한다.
판비콤 - 육체피로
- 임신ㆍ수유기
- 병중ㆍ병후의 체력저하시
- 영양불량, 체중감소
- 위장관질환
- 신경염, 피부염
- 화학요법제 투여 시
- 근육 또는 정맥주사 한다.
시코빈 - 비타민 C 결핍증의 예방과 치료
- 비타민 C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 : 임부ㆍ수유부, 심한 육체노동 시 등
- 비타민 C 결핍증 또는 대사장애에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
- 근육 또는 정맥주사 한다.
비코트렛 - 비타민 D 결핍의 예방과 치료 - 근육주사로 투여
- 3개월 내에 치료효과와 내약성이 검토되어야 하며,
이를 바탕으로 재 투여 여부를 결정한다.
액티나마이드 1. 비타민 B12 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
2. 비타민 B12의 수요가 증대하여, 식사로부터의 흡수가 불충분한 경우의 보급
소모성 질환, 갑상선기능항진증, 임산부, 수유부 등
3. 거대적아구성빈혈
4. 광절열두조충증
5. 악성빈혈에 수반하는 신경장애
6. 흡수부전증후군(스프루 등)
7. 다음 질환 중 비타민 B12의 결핍 또는 대사장애가 관여한다고 추정되는 경우
1) 영양결핍성 및 임신성빈혈
2) 위 절제후의 빈혈
3) 간장애에 수반된 빈혈
4) 방사선에 의한 백혈구 감소증
5) 신경통, 말초신경염, 말초신경마비
6) 근육통, 관절통
7) 중추신경장애 : 척수염, 변성질환(變性疾患) 등
- 근육주사 한다.
새로나민 - 아미노산 보급
- 간 기능 장애(간부전)시, 간성혼수 치료 시
- 정맥 내 점적주사한다.
아르믹스 - 저단백혈증, 저영양상태, 수술전후 아미노산 보급 - 정맥으로 점적주사한다.
슈프라민 - 저단백혈증, 저 영양상태, 수술 전후 아미노산 보급 - 정맥 내 점적주사한다.
- 소아, 고령자, 중증환자에는 천천히 주입한다.

 

 

7. 항생제

셉타신 - 패혈증
- 기관지염, 기관지확장증(감염 시), 폐렴, 만성호흡기 질환의 2차 감염, 폐농양, 농흉
- 담관염, 담낭염, 복막염
- 신우신염, 방광염
- 바토린선염, 자궁내감염, 자궁부속기염, 골반사강염, 자궁주위염
- 악골주위 연조직염, 악염
- 수술 시 감염예방
- 정맥주사 시 1g(역가)당 주사용수, 생리식염주사액,
또는 포도당 주사액 10mL에 녹여 천천히 주사한다.

- 근육주사 가능하다. , 소아에는 근육주사하지 않는다.
트리젤 - 혐기성균 감염증 : 패혈증 및 균혈증, 뇌농양, 괴저성 폐렴, 골수염, 산욕기 패혈증, 골반농양, 자궁주위조직염, 수술 후 창상감염증
- 혐기성균(특히 박테로이드, 혐기성 스트렙토콕쿠스)에 의한 수술 후 감염의 예방
- 정맥주사
세프트리악손 - 폐렴,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
- 이비인후과 감염증
- 신장 및 요로감염증,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
- 패혈증
- 수술 전후 감염예방
- 골 및 관절 감염증
- 피부,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
- 복막염, 담낭염,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
-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
- 수막염
-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한다.
- 정맥점적 주사시 100ml이상 생리식염수 등에 혼합하여
30분 동안 천천히 주입한다.
겐타마이신 - 패혈증(신생아 패혈증 포함)
- 중추신경계 감염증(수막염 포함)
- 요로감염증
- 호흡기감염증
- 위장관감염증(복막염 포함)
- 피부, 골 및 연조직감염증
- 그람음성균 감염증의 초기치료
- 정맥 또는 근육주사
-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% 포도당 주사액에 희석하여
302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. 이때 다른 혼합하지 말고 단독 믹스하여 투여한다.
시프로플록사신 - 급성 기관지염을 제외한 호흡기감염증, 지역사회감염폐렴
- 인후감염
- 세균성 전립선염, 급성단순방광염, 급성신우신염, 복잡성요로감염
- 임균성 자궁경부염 및 임균성 요도염
- 위장관감염증
- 담즙분비관의 감염증
- 피부 및 연조직의 감염과 상처
- 관절의 감염증
- 복막염
- 정맥주사 한다.

 

 

8. 그 외주 사제

뮤코스텐 - 진하고 점도높은 가래를 수반하는
기관지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증상 개선



-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의 해독

- 정맥주사
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%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천천히 짧게 주입(5분 이상)한다.
- 근육주사

라식스 - 고혈압(본태성, 신성 등)
- 심성부종(울혈성심부전)
- 신성부종,
- 간성부종(복수)
- 급성폐부종
- 정맥 또는 근육에 주사한다.
레보멜스

- 간염, 감염 후유증, 간경변 등 중증의 간질환 해독 보조치료

- 적정 수액제에 혼합하여 점적 정맥 주사할 수 있다.

 

 

지금까지 기본적인 급성기 병원 외래 주사실에서 투여되는 주사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이 외에 다양한 주사제가 급성기 병원 외래 주사실에서 투여될 수 있습니다. 

 

반응형

'공부 > 약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강력한 효과, 효과가 좋은 다이어트약 추천  (0) 2022.07.21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